분류 전체보기 87

[인공지능] 2주차 | 인공지능 개론 1부

[2-1] 인공지능 개론 1부 AL,ML,DL이 무엇인지 정확히 알고, 기술 변화의 흐름을 공부해보자. ✅ AI(Artificial Intelligence) / ML(Machine Learning) / DL(Deep Learning) 인공지능은 최근에 나온 개념이 아니다 무려 1950년부터 있었던! 인공지능의 하나의 솔루션인 '머신러닝'이 1980년대부터 나타나기 시작했다. 왜 등장했을까? 간단하다. 기존 AI보다 ML이 더 문제를 잘 해결해서이다 :) 그리고 2010년부터는 '딥러닝'이 각광받기 시작하는데 이도 역시나 DL이 ML보다 더 우수한 성능을 내서이지. 즉, 인공지능 안에는 여러가지 방법론들이 있는데 그중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이 '머신러닝'이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딥러닝'이 더욱 주목받..

📚 Study/AI 2022.09.18

[인공지능] 1주차 | 소프트웨어2.0, 생활 속 인공지능, (EBS다큐프라임) 우리아이 AI네이티브입니까

[1-2] 범용SW와 인공지능SW 머신러닝이란? 기계가 배운다. 딸기 주스를 만들려고 하는데 우리에게는 레시피가 없는 상태 (방법은 모르고 결과만 아는 상태) 결과를 만들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을까? 레시피를 알려주는 대신에 기계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만들어보고 - 에러측정하고 - 개선하고 위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정답과 가까워지는 것이 '머신러닝' 머신러닝 학자 'Tom Mitchell' 인공지능도 마찬가지 우리는 그 지능을 만드는 과정은 잘 모르지만 결과는 잘 알고 있음 ex) 바둑을 잘 두는 지능 따라서 레시피를 제공하는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1.0)보다는 학습하면서 결과를 보여주는 머신러닝(소프트웨어2.0)으로 인공지능 개발하는 것 [1-3] 생활 속 인공지능 음성 인공지능 '타코..

📚 Study/AI 2022.09.14

[자료구조] 기초데이터구조 | 배열, 연결리스트

✅ 3.1 데이터구조의 기본 재료 건물에 비유하면 데이터구조: 건물을 구성하는 재료, 자재, 이들이 상호 결합된 구조물 알고리즘: 건물을 조명하고, 냉난방을 공급하거나, 환기시키며, 비상시 작동하는 자동 개폐 시스템 등 건물을 운영하는 일련의 제어 시스템 잘 설계된 조명 배치나 냉난방 배관 구조가 (데이터구조) 건물의 조명과 냉난방의 운용 효율과 경제성 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처럼 (알고리즘) 좋은 데이터구조 설계는 효율적인 알고리즘 운용의 선결 조건이다! 데이터구조를 구축하는 기본 재료로서 배열과 연결리스트 공부하기 배열과 연결리스트는 차후 한 차원 높은 형태의 데이터구조 설계에 기본 재료 역할을 한다 :) 차후에 학습할 데이터구조들은 이 장에서 습득할 배열이나 연결리스트에 의해 상세 구현됨 ..

[알고리즘] 2주차 강의 | 우선순위 큐 ADT, 제자리 선택정렬, 제자리 삽입정렬

✅ 우선순위 큐 ADT 우편배달부: 우체국에서 그날 배달해야 할 우편물들을 가방에 넣어 우체국을 출발해서 배달처를 돌며 배달함 배달부A: 우체국에서 가방에 우편물을 담을 때 아무렇게 (fast), 배달 과정에서는 그때그떄의 배달처에 맞는 우편물을 찾아야 하니까 시간 걸림 (slow) 배달부B: 우체국에서 가방에 우편물을 담을 때 배달처 주소 순서대로 차곡차곡 (slow), 배달 과정에서는 차례로 꺼내면 되기 때문에 시간 절약 (fast) 또 다른 예로는, 거둬들인 시험 답안지 100장을 학번 순서대로 점수표에 입력한다고 할 때 교수A: 답안지 더미에 놓인 순서대로 채점(fast), 채점완료된 답안지 더미에서 학번 순서대로 찾아내 점수표에 입력함 (slow) 교수B: 채점을 마친 답안지를 학번 순으로 쌓고..